본문 바로가기

독서/일반도서

(5)
미아키 스가루의 창작 교실 비유는 때때로 화자의 의도를 넘어서서 사물의 핵심을 드러낸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우리보다 훨씬 현명하다. (250쪽) 이야기 이야기라는 건 그럴 마음만 있다면 한없이 이어나갈 수 있다. 그럼에도 어떤 이야기이든 끝이 나는 건, 작가가 아니라 이야기 자체가 그걸 요구하기 때문이다. (351쪽) 소설은 예상 독자의 욕구에 기초하여 만들어지나, 가공되지 않은 욕구를 그대로 집어넣으면 경험과 소설 사이에서 부조화가 발생한다. 그렇기에 소설이라는 것은 망상보다 좀 더 현실적인 '최선의 가능성'이란 형태를 취한다. (163쪽) 완성도 소설의 완성도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가 없기 때문에, 아무리 엉터리인 작품이라도 "당신의 취향에는 맞지 않았나 보군요."라는 말로 무마해 버리는 것이다. (300쪽) 내용에 집중해..
<너의 이야기> 어록 주제 : 꿈에서 깨어나 현실을 직시해라. (X) 현실에서도 가끔 꿈처럼 행복한 일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의심하지 말고 믿어달라. (O) 1 어릴 적부터 제게는 친구라곤 단 한 명도 없었으니까요. 함께한 좋은 추억 같은 것도 하나도 없어요. 그러니까 예전 동창한테서 연락이 온다고 해도 기대할 일이 없고요. # 그렇지 않아, 아마가이. 그놈들은 추억을 파고들지 않아. 추억이 없다는 걸 파고들지. 40 동네에는 불만이 없었다. 내 불만의 대상은 이 동네에 살고 있는 나 자신이다. 이만큼 은혜로운 무대가 마련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단 하나도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지 못한 나라는 인간의 무기력함을 통감하게 되는 것이 괴로운 것이다. 97 학급에 적응하지 못하고 교실에 머물 곳이 없어진 학생은, 우선 도서관으로 도..
<나를 보내지 마> - 반항할 수 없는 아이의 삶 ※ 스포일러 주의 : 스포 없는 리뷰로는 아래 글을 추천. 1657. 가즈오 이시구로 『나를 보내지 마』 | 민음사 1657. 가즈오 이시구로 『나를 보내지 마』 [9.5/10] . 인간의 삶과 죽음, 그 중간 어딘가를 부유하며 우리의 내면을 보자. 과연 무엇이 우리를 인간답게 하는가. 인간은 무엇이고 어떻게 규정하며 minumsa.minumsa.com 2021.12.15 작성. 목차 더보기 1. 줄거리 2. 시사점 2.1 약자와 타자에 대한 은유 2.2 클론의 자유 의지 2.3 사회의 도덕적 해이 2.4 인간의 조건 3. 총평 1. 줄거리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는 1990년대 후반 영국, 평화로워 보이면서도 외부와의 접촉이 일절 차단된 기숙학교 ‘헤일셤’을 졸업한 캐시가 간병사로 일하며 학창 시절을 ..
아픈 것아, 아픈 것아, 날아가라 - 리셋 증후군 미아키 스가루는 자신만의 색깔이 확실한 작가다. 사실상 데뷔작이나 마찬가지인 '스타팅 오버'를 비롯하여 출판된 소설만 7권이지만, 신작 '너의 이야기'를 제외하면 플롯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는 자가복제라는 말도 들린다. 덕분에 그의 작품은 처음 읽을 때는 감동적이지만 내용이 뻔해서 금방 질린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내가 그런 경우가 아닌가 싶다. '3일간의 행복'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고 그날로 미아키 스가루에 입문한 사람으로서 이 책은 솔직히 기대 이하였다. 사건의 개연성과 인물의 행위 동기, 초반의 몰입감은 오히려 전작보다 퇴보한 느낌이라, 미아키 스가루의 소설을 처음 읽을 때는 눈에 콩깍지가 씌었던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였다. 먼저 사건의 개연성과 행위 동기를 보자. 1장에서 주인공..
호모 데우스 - 인본주의로 본 인류의 역사와 미래 유발 하라리는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교 역사학과 교수로,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중세 전쟁사로 박사 학위를 받은 인물이다. 인류의 역사를 다룬 책 로 유명세를 얻은 그는 로 돌아왔는데, 일각에서는 둘이 서로 크게 다르지 않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물론 두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가 일부 겹치는 것은 사실이지만, 내가 생각하는 이 책의 핵심이자 가 전작과 차별화되는 지점은 바로 ‘인본주의’이다. 저자가 말하는 ‘인본주의’는 삶의 의미가 우리 모두의 고유한 경험에서 나온다는 믿음인데, 이 개념의 중요성을 이해하려면 우선 종교를 이해해야 한다. 저자는 책에서 종교를 ‘인간의 사회 구조에 초인적 정당성을 부여하는 어떤 것’으로 정의하면서, 종교는 개인의 진리 추구를 의미하는 영성과는 다르다고 설명한다. 유사 ..